책소개
근대와 현대를 아우르는, 20세기 한국미술의 아름다움독특한 시각으로 시대의 초상을 그린 한국 근현대작가들. 그들의 작품에 담긴 자연, 인간과 문화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고, 한국인들의 삶의 역사와 환경에 녹아든 한국적 미의식의 보편성을 추출하다.
저자소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와 동대학원 미학과를 졸업했고 베를린 자유대학 철학과를 수학했다.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루카치 미학연구: 미메시스의 문제를 통해 본 예술과 현실의 관계」(1996)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홍익대, 한국예술종합학교, 고려대 등에서 강의했으며 홍익대 겸임교수, 서원대 전문연구교수 등을 거쳤다. 현재 한국미학예술학회의 편집위원이며 서원대 연구교수로서 한국연구재단의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근현대미술의 미의식을 분석하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저서로 『루카치 미학 연구』(1998), 『예술론특강』(2007), 『미학특강』(2011), 『기호학과 미학』(공저:2017)이 있다. 역서로 『루카치 미학 1』(2000), 『어떻게 이해할까? 인상주의』(2007), 『어떻게 이해할까? 바로크』(2007)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한국 근현대미술에 나타난 시각기호와 미적 가치에 대한 연구: 자연모티브를 중심으로」(2016), 「한국 극사실 회화에 나타난 시각기호와 미의식」(2015), 「한국미의 고유성 규명을 위한 비교미학적 고찰」(2014), 「미술에 적용된 서사성의 미학적 구조-80년대 한국의 비판적 리얼리즘미술을 중심으로」(2013) 외 다수가 있다.
목차
프롤로그1부. 한국미술의 미의식에 대하여 1. 한국적 미의식의 고유성 자연 인간과 문화 2. 한국 근대미술의 미의식 근대미술의 시기 구분 한국 근대미술과 ‘향토색’ 논의2부. 한국 구상미술의 미의식에 대하여 1. 구상미술과 재현 한국의 구상미술 2. 구상미술의 예술의욕: 재현, 표현, 창안 재현: 인간, 자연, 삶의 환경 표현: 새로운 조형감각으로 표출된 내면성과 이념 창안: 개성적 형태미와 구성미3부. 한국 추상미술의 미의식에 대하여 1. 한국 추상미술에 나타난 자연관 추상미술에서 ‘자연’의 의미 비평원리로서의 ‘자연주의’ 기하학적 추상과 서정적 추상 2. 추상의 선구자들 추상의 선구자들과 신사실파 유영국: ‘산山’으로 표현된 자연의 본질 김환기: 한국적 정서와 융합된 자연과 삶의 체험 3. 앵포르멜 실존적 의식과 ‘제2의 자연’ ‘현대미술가협회’와 앵포르멜 미술운동 한국화와 조각 분야에서의 앵포르멜 경향 내적 실재의 모색과 미의식 4. 단색조 회화 한국적 미니멀리즘과 미의식 회화에 있어서 물질성과 정신성 내적 실재로서의 자연4부. 한국 리얼리즘미술과 신형상미술의 미의식에 대하여 1. 비판적 리얼리즘미술 현실과 발언의 비판적 리얼리즘 미학적 관점에서 본 미술의 서사성 비판적 리얼리즘미술에 나타난 서사성 2. 극사실회화 극사실회화에 내재된 미의식 한국 극사실회화의 전개 양상과 미술사적 규정 기호학적 관점에서 본 극사실회화 시각기호와 미의식에필로그참고문헌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