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공예와 현대공예의 개념
공예연구의이론적도약을위하여
: 형(形),기(氣),신(神)으로공예의개념과철학을 제안하다
이 책은 공예를 철학적 차원에서 연구 분석한 ‘공예형기신론(工藝形氣神論)’을 제시하고 있다. 화론에서 논하는 ‘형기신(形神論)’이나 ‘기론(氣論)’과는 다르게, 전적으로 공예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형(形), 기(氣), 신(神)의 상호 영향과 제약을 통하여 공예와 관련이 있는 핵심적인 요소들을 분석했다. 공예의 본질은 공예의 형(形), 기(氣), 신(神)의 결합에 귀속된다. 그중에서 공예의 형은 기능형태와 장식형태를 가리키고, 공예의 기는 공예품이 모양을 갖추기 전의 기능형태 재료와 기계 형태 재료, 수공 생산력과 기계생산력, 공예기술과 공예법칙을 가리킨다. 또한 공예가 모양을 갖춘 뒤 형태 주위에 떠다니는 장기(匠氣: 공예품의 기운)를 가리킨다. 공예의 신은 기능의 구상과 설계(設計), 장식에서의 의사소통과 장심(匠心: 장인정신)을 가리킨다.